Brilliant-Korean
불교 관련 이야기들을 기록하는 블로그입니다.

의외로 불교용어였던 일상 속 단어들

현대 대한민국의 일상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단어들 중에는 불교의 세계관에서 유래된 용어가 많이 있습니다.

의외로 불교용어였던 일상 속 단어들

출처 : 불교신문(http://www.ibulgyo.com)

사회적으로 통용되는 불교 용어

'돈 낼래, 땡꼬 맞을래'가 아니라, '너희 스스로가 죽음의 공포와 고통에서 벗어나는 큰 깨달음을 얻어 자유로워 지거라' 라는 뜻이니라... 이 가여운 중생(= 즘생 = 짐승)들아!

1. 본래 의미와 다르게 사용되는 사례

  • 각오(覺悟, 깨우칠 각覺, 깨달을 오悟) : 잠을 깨는 것과 같이 훤하게 진리를 깨닫는다는 뜻 → 특정 대상에게 경고하는 의미
  • 강당(講堂, 외울/배울 강講, 집 당堂) : 설법을 강(講)하던 장소 → 많은 사람이 한 군데 모여 의식이나 강연 등을 하는 장소
  • 결집(結集, 맺을 결結, 모을 집集) : 불전(佛典)을 올바로 평가하고 편찬하는 일 → 많은 사람들이 한 곳에 모인 모양
  • 기특(奇特, 대단할 기奇, 뛰어날 특特) : 부처님이 이 세상에 오신 일 → 어리거나 사회적 지위가 낮은 사람을 귀엽게 보고 칭찬할 때 쓰이는 말
  • 나락(奈落, 那落, 어찌 나奈, 어찌 나那, 떨어질 락落) : 지옥을 달리 부르는 말 → 도저히 벗어날 수 없는 극한 상황
  • 다반사(茶飯事, 차 다茶, 밥 반飯, 일 사事) : 차를 마시고 밥을 먹듯이 일상생활이 곧 선으로 연결됨을 상징 → 늘 있는 예사로운 일
  • 대중(大衆, 큰 대大, 무리 중衆) : 부처님께 귀의한 신도들을 가리키는 말 → 여러 계층의 많은 사람을 일컫는 말
  • 면목(面目, 얼굴 면面, 눈 목目) : 깨달음의 경지에서 나타나는 마음의 본성 → 체면, 얼굴의 생김새, 용모를 일컫는 말
  • 살림 : 절의 재산을 관리하는 일 → 한 집안을 이루어 살아가는 일이나 살아가는 형편
  • 주인공(主人公, 주인 주主, 사람 인人, 공변될 공公) : 득도한 인물을 가리키는 말 → 사건의 중심에서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는 인물
  • 현관(玄關, 검을 현玄, 빗장/닫을 관關) : 깊고 묘한 이치에 통하는 관문 → 문의 입구를 지칭하는 말

2.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사례

  • 건달(乾達, 하늘 건乾, 도달할 달達, 인도 힌두교 신앙 속 음악의 정령 간다르바(산스크리트어: गन्धर्व)의 음차 건달바乾闥婆) : 제석천의 음악을 담당하는 신 →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빈둥빈둥 노는 사람
  • 걸식(乞食, 빌 걸乞, 먹을 식食) : 스님들이 자기의 몸과 목숨을 돕기 위해 일정한 행의작법(行儀作法)으로 밥을 얻는 일 → 음식을 남에게 빌어먹음
  • 아사리(阿闍梨, 언덕 아阿, 사리 사闍, 배나무 리梨, 스승님이나 큰 스님, 어르신 수행자를 뜻하는 아차리야(산스크리트어: आचार्य)의 음차) : 제자의 행위를 교정해주고 지도하는 고승(高僧) → 질서가 없이 어지러운 곳이나 상태
  • 야단법석(野壇法席, 바깥 야野, 터 단壇, 규칙 법法, 자리 석席) : 야외에 자리를 마련하여 부처님의 말씀을 듣는 자리 → 떠들썩하고 시끄러운 모습
  • 이판사판(理判事判, 다스릴 리理, 판단할 판判, 일 사事) : 수행에 전념하는 스님과 절의 사무를 보는 스님 → 막다른 궁지, 끝장을 뜻함
  • 장광설(長廣舌, 긴 장長, 넓을 광廣, 혀 설舌) : 부처님께서 중생을 위해 설법한다는 뜻 → 쓸데없는 말을 너스레하게 펼쳐놓고 진정으로 해야 할 말을 하지 않는 경우
  • 천상천하 유아독존(天上天下 唯我獨尊 : 하늘 위와 아래 오로지 나(깨달은 자 = 붇따, बुद्ध, buddha)만이 홀로 존귀하노라) : 인간의 존귀한 실존성을 상징 → 천하에 자기만큼 잘난 사람은 없다고 자부하거나 아집(我執)을 가진 사람을 비유하는 말
  • 투기(投機, 던질 투投, 틀 기機) : 몸을 던져 부처님의 깨달음을 얻으려 한다는 뜻 → 돈을 던져 기회를 잡는 것
  • 화상(和尙, 어우러질 화和, 숭상할 상尙) : 수행을 많이 한 스님을 높여 부르는 말 → 어떤 사람을 마땅치 아니하게 여기어 낮잡아 이르는 말

3. 타종교에서 사용되는 사례

  • 장로(長老, 긴 장長, 늙을 로老) : 학덕이 높고 종경 받는 고승 → 개신교 교회 등에서의 평신도 최고의 직급
  • 전도(傳道, 전할 전傳, 길 도道) : 부처님 가르침을 전한다는 뜻 → 기독교의 교리를 믿지 아니하는 사람에게 신앙을 전파하는 일
  • 천사(天使, 하늘 천天, 부릴/시킬 사使) : 신의 사자 → 하느님의 뜻을 전하는 사자
  • 천당(天堂, 하늘 천天, 집 당堂) : 하늘나라를 가리키는 용어 → 하느님이 있다는 이상 세계
  • 포교(布敎, 펼 포布, 가르칠 교敎) : 부처님 가르침을 전하는 일 → 이단이나 타종교의 선교를 가리키는 말
@taehyoninaeshop  4개월 전  ???: 저희는 종교를 강요하지 않아요. 알아서 오거든 요.  GAM  409  6  :